Tourism Is Ur Miracle!
안녕하세요 한양대학교 관광학부 학회 티움입니다🌱
티움이 정성스럽게 준비한 관광 인사이트 채움 3호는
관광용어부터 뉴스, 인사이트까지 흥미진진한 내용으로 데려왔습니다! |
|
|
안녕히계세요 여러분~ 전 이 세상의 모든 굴레와 속박을 벗어던지고 제 행복을 찾아 ‘아웃바운드 관광’하러 떠납니다~ |
|
|
아웃바운드(Outbound) vs 인바운드(Inbound)
아웃바운드(Outbound) 관광은 내국인의 외국 여행으로, 쉽게 말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외국으로 여행하는 것, ‘해외여행’을 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돼요.
이와 반대되는 개념인 인바운드(inbound) 관광이 있는데요, 인바운드 관광은 외국인이 우리나라로 입국해 여행하는 것, 즉 외국인의 국내 관광을 뜻한답니다.
이에 따라 여행업(여행사)도 외국을 방문하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여행업인 ‘아웃바운드’와 한국에 방문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여행업인 ‘인바운드’로 종류가 나뉘어요.
최근 엔데믹 시대를 맞이하면서 여행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아웃바운드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는 반면 인바운드의 회복세는 더딘 추세를 보이고 있어요. 이에 따라 서울, 제주 등의 지자체는 인바운드 관광시장 활성화 사업을 시행하며 내수 활성화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도 합니다.
|
|
|
‘산티아고 순례길'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산티아고 순례길은 스페인과 프랑스를 잇는 800km 가량의 기독교 순례길이에요. 이 순례길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순례 여행자와 도보여행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에도 산티아고 순례길을 벤치마킹 한 ‘동서트레일’이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동서트레일은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충청남도 태안군까지 연결되는 849km의 숲길입니다. 동서트레일은 지난 6월, 경북 울진에서 약 20km 코스로 이루어진 시범 구간이 개통되어, 2026년까지 모든 코스가 조성되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동서트레일 코스에 포함되는 많은 산촌 거점마을들의 지역 경제 활성화와 내·외국인이 모두 방문하는 세계적인 숲길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민간 기업과 산림청 및 각 광역 단체가 조성하고 있습니다. |
|
|
2023년 11월 28일 새만금 방조제에 들어서는 '챌린지 테마파크'가 첫 삽을 떴습니다. 새만금 관광개발 민간투자 사업으로는 첫 번째로 착공하는 사업으로, 지금까지 관광지로 큰 역할을 못 했던 새만금이 새로운 관광명소로 떠오르는데 그 시작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새만금 챌린지 테마파크 개발사업'은 1443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하여 문화시설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2027년부터 본격 운영될 예정인데요, 국내 호텔 서비스 기업인 한화호텔엔리조트에서 운영에 참여하며 공연시설, 대관람차 등이 들어설 예정이고 숙박시설로는 콘도와 단독형 빌라가 조성될 예정입니다. 새만금에 새로운 관광 중심지가 형성되면서 기대되는 연간 고용 창출 효과는 1600여명이며 예상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1438억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
|
|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의 *관광수지는 46억 5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올해 상반기 적자액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122.9% 확대되었는데요. 이는 엔데믹 이후 아웃바운드에 비해 인바운드 회복세가 더뎠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어요. 그러나 최근 분위기가 바뀌고 있어요. 관광공사에 따르면 10월 한국을 방문한 외래 관광객은 지난해 같은 달 보다 158.3% 증가한 122만 9899명으로 집계되었고, 방한 관광객은 4개월 연속 100만명을 돌파했다고 합니다.
*관광수지적자 : 외화유출로 이어져 환율 상승을 유발할 수 있어요.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해오는 물건의 가격이 높아져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어요. 정리하면, 관광수지적자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중 하나입니다. |
|
|
기후변화의 심각성이 커지면서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개인 여행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여행사 '인트레피드 여행'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40년이면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가 더 심각해지면서 정책적으로 매년 개인별 탄소 배출량을 제한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따라서 개인마다 여행을 통한 탄소 배출량에 제한을 두는 '탄소 여권' 도입의 가능성을 제시했는데요. 보고서에 따른 전문가들은 개인별 탄소 배출량을 연 2.3톤으로 제한할 것을 권하고 있으며 이는 브라질에서 사우디아라비아까지 한 차례 왕복할 때 배출되는 양과 같습니다. CNN 역시 이번 세기말까지 지구 기온 상승 폭을 2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개인별 탄소 배출량을 2톤으로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관광업의 탄소배출 문제 대응이 적극적으로 필요해 보입니다. |
|
|
돈을 받고 여행을 갈 수 있는 곳이 있다면 여러분들은 믿으실 수 있나요? 대만에서는 추첨을 통한 여행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어요. 대만을 제외한 국가의 여권 소지자로 대만에 입국하여 3~90일간 체류하며 단체 여행에 참가하지 않은 자에게 대만달러 5,000NTD(한화 약 206,500원)상당의 전자 바우처 또는 숙박 할인쿠폰을 받을 수 있는 이벤트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습니다. 2025년 6월 30일까지 진행할 예정이고, 2023년에는 25만 명, 2024년에는 15만 명, 2025년에는 10만 명에게 지급하며 할당량이 조기 소진 시에는 그 해의 지급 이벤트를 종료한다고 합니다. 대만관광청에서 국제관광객 유치를 위해 진행하는 이벤트로, 20만원이라는 큰 금액을 받을 수 있어 많은 관광객들의 관심을 받고 있지만 추첨이라는 요소 때문에 부정적인 시선도 동반되고 있습니다. |
|
|
현지시간 2023년 11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의 수도 리야드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기구(BIE)에서 진행된 개최지 선정 투표에서 높은 득표 수를 기록하며 엑스포 유치에 성공했습니다. 이번 투표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리야드, 한국의 부산, 이탈리아의 로마가 입후보하였으며, 사우디가 119표, 한국이 29표, 이탈리아가 17표를 받으며 사우디아라비아의 승리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이번 엑스포 유치에 성공하면서 AFC아시안컵, 동계 아시안게임, 하계 아시안게임, 월드컵에 이어 엑스포까지 10년 이내에 5개의 국제행사를 개최하게 되었어요. 여러 나라에서 국제 행사 유치에 힘쓰는 이유는 다른 국가와 문화 간의 이해와 존중을 촉진하며, 세계 각지에서 오는 사람들 간의 유대감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관광 산업을 촉진하여 현지 비즈니스, 호텔, 음식점 등이 수익을 얻을 수 있어 현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답니다. |
|
|
본 뉴스레터는 티움에서 진행한 스터디케이스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콘텐츠입니다.
채움에서 여러분과 함께 나누고 싶은 세 번째 관광 인사이트는
거시적 관점에서의 국내 관광업계 속 스타트업입니다.
이 이야기 끝에 나오는 <관광 이야기 꽃🌺이 피었습니다>에서
여러분과 함께 의견을 공유하고 싶은 부분이 있으니 끝까지 읽어보시고 의견 나눠주시면 좋겠습니다🤗 |
|
|
새로운 기술과 아이디어로 관광관련 분야를 타겟으로 하는 스타트업을 관광 스타트업이라고 해요. 대표적인 예시로, 야놀자, 여기어때, 마이리얼트립 등이 있죠! 관광산업은 비교적 적은 자금의 투자로 일자리 창출과 성장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요. 그래서 정부의 주도의 관광스타트업 육성을 통한 국가 경제 활성화를 도모해야할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답니다 |
|
|
하나도 둘도 아닌 여러 종류의 관광스타트업 🏢
|
|
|
관광은 다양한 분야와 융합할 수 있기 때문에 관광스타트업 역시 그 분야가 굉장히 다양합니다.
최근에는 OTA와 트레블테크가 강세라고 합니다. |
|
|
모든 시장에는 트렌드가 존재합니다. 국내 관광스타트업 역시 예외는 아닌데요. 최근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관광스타트업의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어요!
✅ 주목받는 small&private 맞춤투어
✅ 소셜 살롱(social salon) 여행 시대의 도래
✅ 마이크로의 취향은 ‘고급화’
✅ 획기적인 일정 공유 서비스여행 멤버쉽
✅ 기술적 혁신보다는 새로운 컨텐츠
✅ 여행 멤버쉽
✅ Ai와 직거래를 통한 거래의 자동화 |
|
|
사례에 들어가기에 앞서 세계의 관광스타트업 주요 트렌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UNWTO는 ‘Travel and Tourism Tech Startup Ecosystem and Investment Landscape’ 보고서를 발간해 아래와 같은 트렌드를 제시했어요.
✅ 코로나19로 인한 기술활용 기반 스타트업 주목
✅ UNWTO 스타트업은 AI, AR, VR 등을 사용하는 기술 경향
✅ 탈탄소화, 탄소 중립 등 환경 관련 트렌드
✅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관광객과 지역사회의 역할에 대한 솔루션 제공
✅ B2B솔루션으로 이동하는 틈새시장 공략 추세
이러한 트렌드를 바탕으로 한 관광스타트업들은 최근 여러 투자를 받으며 성장하고 있는데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볼까요? |
|
|
한국 스타트업 투자 데이터베이스인 The VC에서 스타트업들의 투자 동향을 통해 인기 있는 관광 스타트업 분야에 대해 확인할 수 있어요! 국내의 관광 스타트업은 투어 플래닝💻, 특수목적관광🏠, 투어 소셜🗣️ 분야에 대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제공하는 기업들이 주로 투자를 받고 있답니다. |
|
|
현재 투자를 많이 유치하고 있는 분야들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관광 스타트업이 만들어지고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관광 스타트업들은 무엇이 있는지 함께 살펴보도록 해요! |
|
|
여기어때는 2014년 4월에 만들어져, 야놀자와 함께 국내 관광 스타트업 중 유일하게 ‘*유니콘’으로 성장하게 된 기업입니다! 여기어때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중소형 호텔(모텔)이 마주한 시장 확장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모텔 숙박 시장을 완전히 바꾸어내었어요!
*유니콘 기업: 기업 가치가 10억 달러(=1조 원) 이상이고 창업한 지 10년 이하인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 |
|
|
혁신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한 여기어때는 모텔 예약 플랫폼에서 시작하여 2016년에는 호텔, 펜션, 게스트하우스 등을 담은 종합 숙박예약 플랫폼으로, 2018년에는 액티비티까지 확장해 숙박 외에도 워터파크, 테마파크, 축제·공연까지 예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장에서의 자리를 견고히 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어 내고 있답니다! |
|
|
라이크어로컬은 2016년에 만들어져, 다양한 국가의 현지인처럼 먹고 즐기는 방법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투어테크 스타트업이에요! 현지인과 자유여행객을 이어줄 수 있는 로컬 여행상품과 콘텐츠 개발, 개인의 성향에 맞춘 로컬여행 빅데이터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답니다.
라이크어로컬은 내국인을 대상으로 한 MAP 기반 여행지 정보 제공 서비스인 부로컬리를 운영하고 있어요. 부로컬리는 MAP을 기반으로 대한민국의 로컬 플레이스와 로컬 브랜드를 추천하는 서비스에요. 로컬에서 바라본 시각을 통한 정보를 제공하여 여행을 더욱 풍성하게 즐길 수 있게 만들어주고 있습니다.
|
|
|
이렇게 다양하고 많은 분야의 관광스타트업이 성장하고 운영되고 있지만, 그에 따른 문제점도 함께 발생하고 있어요. |
|
|
⚠️ 플랫폼 위주의 사업 모델
한국관광공사가 지난 2021년에 발표한 '관광스타트업의 생존과 성장’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의 관광스타트업의 유형 중 업자가 다양한 종류의 서로 다른 이용자 그룹에게 플랫폼을 제공하는 구조인 ‘양면시장형’이 63.1%를 차지할 정도로 대부분의 관광스타트업들은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알 수 있어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관광스타트업이 많이 생겨나다 보니 비슷한 사업 모델을 가진 관광스타트업들 또한 많이 만들어지고 있답니다.😥 |
|
|
⚠️ 정부 기관과의 소통 부재 및 개입 문제
지난 2017년, 한국관광공사는 자유여행으로 인해 늘어나는 해외유입 관광객에게 맞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웹사이트를 구축하는 사업을 진행하려고 했어요! 그건 바로 ‘VisitKorea’ 사업인데요, 좋은 시도였다고 생각이 들 수 있으나, VisitKorea의 사업 구조가 확인된 후에는 국내 관광스타트업들의 사업을 빼앗는다는 비판을 많이 받게 되었어요.
왼쪽이 한국관광공사의 VisitKorea의 서비스 구조이고, 오른쪽이 여기어때의 서비스 구조인데요, 이 둘을 비교해봤을 때 여러분은 어떻게 |
|
|
⚠️ 수도권 과밀화 문제
국내의 경우에는 현재 관광스타트업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스타트업 시장이 수도권에 밀집되어 있어요! 대부분의 스타트업이 위치하고, 투자를 받는 곳은 바로 수도권이라 할 수 있어요.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관광스타트업의 시장 구성은 변화가 필요하답니다. |
|
|
이렇게 다양한 문제를 현재 국내 관광스타트업들이 갖고 있어요😥 해외의 우수한 사례들을 함께 살펴보면서 국내 관광스타트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을 함께 찾아보도록 해요! |
|
|
관광스타트업 생태계와 지원사업은 해외에서 보다 발달해 있어요. 관광산업은 실질적으로 세계를 대상으로 활동하기 때문에 환율 변동💰, 거시적 경제 환경💵, 국제 정세👥, 소비자 환경 등의 주변 환경 변화에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국 정부는 관광스타트업에 다양한 금융 지원 정책 및 기술 분야 지원을 시행하고 있는데요. 한 번 자세히 알아볼까요? |
|
|
이탈리아: 1,270만 유로의 자금을 네트워크 기업과 관광스타트업 기업에 지원
뉴질랜드: 증권법 개혁을 통해 자본시장에 대한 자본금 도입이 시행되면서 관광기업의 크라우드 펀딩을 통한 자금조달 성공
프랑스: 개방형 데이터 활용을 위한 Data tourisme project 추진, France Tourisme Lab을 통한 스타트업 지원 |
|
|
출처 :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8). 관광산업 발전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
|
|
또한, UNWTO에서도 ‘창업 및 혁신 생태계 육성’의 일환으로 새로운 아이디어와 혁신적인 솔루션을 도출하기위해 여러 관광스타트업 대회 및 공모전을 개최하고 있어요. |
|
|
출처 : Travel and Tourism Tech Startup Ecosystem and Investment Landscape(UNWTO) |
|
|
해외의 우수한 관광스타트업은 무엇이 있을까🧐? |
|
|
1) 오요(OYO)
먼저 인도의 오요는 아가왈 CEO가 창업한 관광스타트업으로 현재는 유니콘에서 데카콘 기업으로까지 성장하였는데요, 인도의 저가 숙박시설을 가성비 좋은 소형호텔🏨로 리모델링하여 오요체인에 가입시킴으로써 글로벌 체인 호텔을 만들었습니다.
배낭 여행객이 인도에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오전 6시부터 체크인이 가능한 ‘선라이즈 체크인’ 제도와 이용객에게 교통 정보나 현지 맛집을 알려주는 ‘오요 캡틴’을 배정해 운영하며 포화된 인도 호텔시장에서 차별화 전략을 펼쳤습니다.
무엇보다도 인도를 방문한 여행객들이 겪는 가장 큰 불편함인 ‘숙박시설의 열악함’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저렴하면서도 좋은 시설의 숙소를 공급하는 전략을 택함으로써 MS, 에어비앤비 등이 투자할 수 있었고, 이것을 통해 크게 성장할 수 있었어요. |
|
|
출처 : Download The List of the 100 Highest-Valued Unicorn (Failory) |
|
|
2) ESCAPPY TRAVEL
콜롬비아의 ‘ESCAPPY TRAVEL’은 UNWTO의 Tourism Tech Adventures: Scaling Up에 선정되기도 한 기업입니다. 전통적 여행사가 관광객의 희망 사항을 완전히 반영하거나 맞춤화된 경험을 제공하지 못하고 일반적인 경험만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를 보완하고 새로운 경험을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였어요.
가장 유명한 상품인 ‘깜짝여행’은 고객이 24시간🕛 전에만 목적지를 알 수 있고, 항공사와 호텔이 가진 marginal product를 소유함으로써 비용 절감을 이뤄내 고객만족지수 93%와 재구매율 33%를 달성했답니다. 정말 흥미롭지 않나요🤗? |
|
|
모두 국내외 관광스타트업 이야기 잘 읽어보셨나요~?😉
💬 여러분께 묻고 싶습니다! 여러분은 앞으로 어떠한 방법으로 지역 특화 관광 스타트업 지원 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
|
|
티움의 준비한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입니다! 채움 1호부터 3호까지는 시범적으로 뉴스레터를 발행했는데요,
그렇기 때문에 미숙한 부분을 발견하셨을 거 같습니다🥹
따라서 어떤 점을 보완하면 좋을지 아래 설문을 해주신다면
더 알차고, 풍부한 내용으로 주제를 선별해서
2024년 3월에 다시 돌아오겠습니다!!
COMING SOON🔋 |
|
|
*채움에게 도움이 되는 설문 한 번이면 알찬 관광지식을 얻을 수 있다는 ?! |
|
|
*채움 3호 뉴스레터가 궁금하다면 구독하세요! |
|
|
|